경북의 불교문화유산을 찾아서 1차 (인증과정) > 2014년 과정

검색하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순례과정 강좌신청종료

경북의 불교문화유산을 찾아서 1차 (인증과정)

교육대상
구족계를 수지한 모든 스님
교육일정
월 일 ~ 04월 10일
담당여행사 및 접수
흥선스님
교육비
200000만원
이수점수
30점
수강정원
80명
교육장소
4월8일(화)~10일(목) (음)3월9일~11일
강좌신청종료
신청기간
2014년 01월 13일 ~ 2014년 04월 01일
수강현황
0 / 80명
강의소개
경북지역은 우리나라 불교문화유산의 보고이다. 건축가들이 꼽는 최고의 절집 부석사, 살아 있는 건축박물관이라 불리는 봉정사가 여기에 있다. 남한에 남아 있는 고려시대 건축 6동 가운데 4동, 전국에 현존하는 5기의 전탑 가운데 4기, 우리가 물려받은 조선후기 목각탱 6점 가운데 4점이 이곳에 집중되어 있다. 건축·조각·회화·공예 등 불교미술의 모든 분야에서 성보문화재가 가장 밀집되어 있는 곳이 경북지역이다.
더불어 우리나라 서원을 대표하는 5대 서원이 모두 경북에 소재하고 있으며, 사대부 집안의 살림살이를 엿볼 수 있는 하회마을과 양동마을, 한밤마을, 한개마을 등도 경북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이 강좌는 강의와 현장 답사를 통해 전국에서 문화유산 밀도가 가장 높은 경북지역의 문화유산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때로는 유교문화를 넘나들기도 하면서 주관적 시선이 아니라 객관적 입장, 비교 고찰의 관점에서 불교문화유산에 대한 인식을 제고, 심화하고자 한다.
여행은 동행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답사여행은 그 이상으로 안내자가 중요하다. 90년대 중반은 우리 사회에 문화유산답사라는 새로운 문화현상이 자리 잡은 때이다. 그 선두에, 그리고 중심에 있었던 한국문화유산답사회 운영진, 그 답사회에서 펴낸 ‘답사여행의 교과서’로 불리며 지금도 생명력을 잃지 않고 있는 <답사여행의 길잡이>시리즈 열다섯 권의 필자들이 우리의 답사길에 동행한다.
강의1. 한국 사원건축의 이해
강의2. 한국 탑파의 이해
답사1. 최고의 절집을 찾아서
답사2. 전탑·모전탑·석탑의 길을 따라
유의사항
  • 위의 내용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 공지사항을 반드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목록으로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55 대한불교조계종대표전화. 02-2011-1809, 1810
Copyright ⓒ 2012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