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소개
19세기말 산업혁명의 끝에 등장한 영화는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빠른 속도로 문화시장을 점령했다. 영화는 대중들의 욕망을 분석하고 대변하는 미학적 탐구의 영역이면서 동시에 예술자본의 대표적 수익구조 형태로 진화하며 산업화되기 시작했다.
일제강점기의 억압적 영화법에 의해 영화적 진흥보다는 검열의 대상으로 발전되어온 한국영화는, 1990년대 초까지만 해도 시장점유율 10%에 불과하다가 [서편제]를 거쳐 [쉬리]가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자 여기에 자극을 받은 투자자본이 영화산업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중요한 감독들이 배출되었다. 지금 한국영화는 천만 관객을 넘는 영화들이 8편을 넘어서고 있으며 국제영화제에서 수상하는 작품들도 수없이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전 세계에서 미국을 제외하고 자국영화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은 나라중 하나로 위상이 달라지고 있다.
한국영화의 르네상스를 이끌고 있는 한국영화의 4대천왕인 김기덕, 홍상수, 이창동, 박찬욱 감독을 중심으로 한국 영화계를 분석해보고, 더하여 우리 사회를 들여다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제1강 한국영화의 검열의 역사와 비약적 발전
제2강 이창동 감독의 서사구조와 구원의 - [초록물고기], [박하사탕], [오아시스], [밀양], [시]
제3강 홍상수 영화의 일상성과 초월의식
제4강 김기덕 영화를 지배하는 불교적 사유와 물질적 상상력
제5강 박찬욱 감독의 복수3부작 [복수는 나의 것], [올드보이], [친절한 금자씨]에 나타난 복수와 용서의 테마
제6강 한국 여성영화의 시대적 흐름과 변화 [하녀], [어우동], [결혼은 미친짓이다], [내 아내가 결혼했다]
강의목차
□ 교육비 : 승납 10년 미만 10만원
승납 10년 이상 15만원
□ 장 소 : 한국문화연수원
□ 강 사 : 하재봉
약력) 前 전라북도 영상위원회 부위원장
現 동서대 교수, 아트탱고 대표
저서) <시네마 클릭>, <영화>, <안개와 불(시집)> 등 다수
강의자료실
첨부파일 다운로드 |
업로드 날짜 |
등록된 강의자료가 없습니다.
|
유의사항
- 위의 내용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 공지사항을 반드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