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지경 > 2016년 과정

검색하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전과정 강좌신청종료

십지경

교육대상
구족계를 수지한 모든 스님
교육일정
04월 25일 ~ 04월 27일
강사명
전재성
교육비
150000만원
이수점수
30점
수강정원
80명
교육장소
4월25일(월)~27일(수) (음) 3월19일~21일
강좌신청종료
신청기간
2016년 01월 04일 ~ 2016년 03월 09일
수강현황
84 / 80명
강의소개
접수 인원이 초과하여 대기자로 접수받습니다.
 
부처님의 깨달음은 단지 깨달음 자체에 의한 일회적인 앎의 지평을 연 것이 아니라, 깨달음 이후의 전 생애에 걸쳐 반복적이고도 지속적인 실천을 통해 열리는 무수한 깨달음의 지평을 연 것이다. 따라서 그 존재의 지평 안에는 역사적 부처님에 대한 헌신적인 귀의와 그의 삶의 궤적과 그의 가르침이 용해되어 있다. 이러한 역사적 부처님의 깨달음은 훗날 무수한 부처님의 깨달음으로 일반화되었다. 󰡔십지경󰡕은 화엄경의 모태가 되는 경전으로 이러한 깨달음 지평을 연 것인데, 그것을 “화엄십지”라고도 한다. 이 화엄지평을 어떻게 열 수 있는 가를 원형적으로 접근해 본다.    
 
제1강 화엄경 십지품과 화엄경의 성립
제2강 불교의 지평사상의 전개와 발전
제3강 서원과 선행: 보시와 지계  
  Ⅰ. 큰기쁨의 지평(歡喜地)[pramuditā bhūmiḥ]
  Ⅱ. 때여읨의 지평(離垢地)[vimalā bhūmiḥ]
제4강 선정과 도품: 인욕과 정진 
  Ⅲ. 새벽빛의 지평(發光地)[prabhākarī bhūmiḥ]
  Ⅳ. 불꽃놀의 지평(焰慧地)[arciṣmatī bhūmiḥ]
제5강 평등과 연기공성의 통찰: 선정과 지혜
  Ⅴ. 드높음의 지평(難勝地)[sudurjayā bhūmiḥ]
  Ⅵ. 꿰뚫음의 지평(現前地)[abhimukhī bhūmiḥ]
제6강 무생법인과 무분별지: 방편과 서원
  Ⅶ. 온거님의 지평(遠行地)[dūraṁgamā bhūmiḥ]
  Ⅷ. 아니뮐의 지평(不動地)[acalā bhūmiḥ]
제7강 분석적인 앎과 바르고 원만한 개달음: 힘과 앎 
  Ⅸ. 한슬기의 지평(善慧地)[sādhumatī bhūmiḥ]
  Ⅹ. 빛구름의 지평(法雲地)[dharmameghā bhūmiḥ]
유의사항
  • 위의 내용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 공지사항을 반드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목록으로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55 대한불교조계종대표전화. 02-2011-1809, 1810
Copyright ⓒ 2012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