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허집 > 2017년 과정

검색하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전과정 강좌신청종료

경허집

교육대상
-
교육일정
04월 17일 ~ 04월 19일
강사명
설정스님
교육비
승납10년미만 10만원, 10년이상15만만원
이수점수
30점
수강정원
80명
교육장소
4월17일(월)~19일(수) (음) 3월12일~14일
강좌신청종료
신청기간
2017년 01월 02일 ~ 2017년 04월 10일
수강현황
74 / 80명
강의소개
경허집 권두에 ‘심월고원(心月孤圓) 광탄만상(光呑萬像) 광경구망(光境俱忘) 부시하물(復是何物)’이라는 게송과 초상, 
친필 1점, 한용운(韓龍雲)의 서문과 성우의 약력이 소개되어 있다. 본문은 법어 10편, 서(序) 10편, 기 5편, 서간문 5편, 행장 2편, 영찬(影贊) 7편, 시 207수, 4·6언시 8수, 오도가(悟道歌) 1편, 오도송(悟道頌) 1편, 심우송(尋牛頌) 20편, 곡(曲) 2편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법어에는 문답식의 글이 많으며, 그의 승속관(僧俗觀)을 나타내고 있고, 특히 「중노릇하는 법」은 수행하는 승님들을 위한 지침서가 되고 있다. 그리고 서(序) 중 「계명암수선사청규(鷄鳴庵修禪社淸規)」는 당시의 선원에서 어떠한 계율을 지켰고 어떻게 생활하였는지를 알게 하는 자료이며, 기에서는 해인사 및 범어사 계명암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다.
또, 시는 오언절구·오언율시·칠언절구·칠언율시 등을 자유롭게 사용하면서 그의 선풍(禪風)을 잘 나타내고 있는데, 「해인사구광루(海印寺九光樓)」는 드높은 선의 경지뿐 아니라 시의 격도 빼어나서 근대 최고의 선시로 손꼽히고 있다. 또한, 「오도가」와 「오도송」은 그의 깨달음의 경지를 읊은 것이다.
「오도송」은 “문득 사람들이 콧구멍이 없다고 하는 말을 듣고 즉시 3천세계가 나의 집임을 깨달았네. 6월 연암산 아래 길에서 야인이 한가로이 태평가를 부르네.”이다. 그리고 「심우송」은 수행자가 찾아야 할 본성을 소를 찾는 것에 비유해서 10가지 단계로 나누고 시로써 설명한 것이다.
곡 2편은 「참선곡(參禪曲)」과 「법문곡(法門曲)」이다. 「참선곡」은 참선을 해야 하는 까닭과 참선공부의 경지 등을 노래한 것이고, 「법문곡」은 법의 실상이 무엇인가를 노래한 것으로서, 현재에도 이 두 곡은 널리 애송되고 있다. 

유의사항
  • 위의 내용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 공지사항을 반드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목록으로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55 대한불교조계종대표전화. 02-2011-1809, 1810
Copyright ⓒ 2012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