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 티벳불교 > 2019년 과정

검색하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인문사회문화과정 강좌신청종료

33. 티벳불교

교육대상
구족계를 수지한 조계종 승려
교육일정
09월 18일 ~ 09월 20일
강사명
청전스님
교육비
승납 10년 미만 10만원, 10년 이상 15만만원
이수점수
30점
수강정원
70명
교육장소
9월 18일(수)~20일(금), (음)8월 20일~22일
강좌신청종료
신청기간
2019년 05월 18일 ~ 2019년 09월 04일
수강현황
53 / 70명
강의소개
티벳불교는 우리나라와 오랜 인연을 맺고 있다. 우리에게 익숙한 삼예사의 사지 󰡔바세󰡕에는 신라의 무상스님(684~762) 김화상에 대한 기록이 그것이다. 본격적인 교류는 원나라 간섭기에 들어온 티벳불교였다. 이런 역사적 이유로 티벳불교는 우리에게 그리 긍정적이지 않은 모습으로 오해되었으며, 바른 이해를 가질 기회가 없었다. 최근 달라이라마의 세계적 부각으로 인해 티벳불교에 대한 관심은 증폭되고 있다.
본격적인 교류는 원나라 간섭기에 들어온 티벳불교였다. 이런 역사적 이유로 티벳불교는 우리에게 그리 긍정적이지 않은 모습으로 오해되었으며, 바른 이해를 가질 기회가 없었다. 최근 달라이라마의 세계적 부각으로 인해 티벳불교에 대한 관심은 증폭되고 있다.
이런 즈음에 스님들이 티벳불교를 바르게 이해하고 다가갈 수 있도록 강의를 마련하였다.
티벳불교에 대한 개념을 시작으로 역사와 교학, 종파, 수행 그리고 불교의 핵심 가운데 하나인 예식과 의식을 살펴볼 것이다. 또한 달라이라마와 사원문화에 대한 이해 그리고 일생 소원인 꼬라(순례)에 대해서도 함께 알아보고자 한다.
 
1. 티벳불교 개요
2. 역사적 개관 - 나란다 전통
3. 교학, 종파, 수행 - 림포체 사상
4. 예식, 의식
5. 달라이라마 - 가르침과 숨은 이면
6. 성지순례 - 사원, 성산, 호수
유의사항
  • 위의 내용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 공지사항을 반드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목록으로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55 대한불교조계종대표전화. 02-2011-1809, 1810
Copyright ⓒ 2012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