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불교생활의례 > 2019년 과정

검색하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인문사회문화과정 강좌신청종료

36. 불교생활의례

교육대상
구족계를 수지한 조계종 승려
교육일정
10월 23일 ~ 10월 25일
강사명
화암스님
교육비
승납 10년 미만 10만원, 10년 이상 15만만원
이수점수
30점
수강정원
70명
교육장소
10월 23일(수)~25일(금), (음)9월 25일~27일
강좌신청종료
신청기간
2019년 06월 23일 ~ 2019년 09월 26일
수강현황
51 / 70명
강의소개
불교의례는 불교인들의 사유체계와 행동양식을 공유하는 기본틀이다. 또한 불교 공동체 형성의 가장 근본적인 요소로 작용하며 오랜 기간 전승되고 변화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불교의례의 특징은 첫째로는 자기완성의 길로 이끌고, 둘째로는 인도자와 참여자의 상호교감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셋째로는 일상의 행위를 수행으로 전환시킨다.
이러한 특징들이 제대로 발현되기 위해서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할 것이 언어이다. 현재 많은 의례들은 한문으로 설행됨으로써 언어의 장벽을 겪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렇다고 모든 의례를 우리말로만 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문과 범어, 우리말을 조화롭게 구성하여 의례를 행해야 한다.
본 강좌는 스님들이 재가불자들과 함께하는 기본적인 의례와 일상 생활에서 겪게 되는 관혼상제로서의 생활의례를 기본적으로 우리말로 익힐 것이다. 또한 보다 심도있는 불교의례들인 불공의식, 천도작법, 다비의식 등도 한문과 한글을 병용해서 익히고자 한다.
 
1. 예불문, 천수경, 반야심경, 법성게 등
2. 불공의식 : 상단, 중단
3. 천도(추선)작법 : 관음시식 중심
4. 다비의식
5. 생활의식 : 안택의식, 문병의식, 화혼의식
6. 불교 4대 기념법회 의식, 불교문화 행사의식
유의사항
  • 위의 내용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 공지사항을 반드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목록으로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55 대한불교조계종대표전화. 02-2011-1809, 1810
Copyright ⓒ 2012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