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인공지능과 인간, 그리고 불교 > 2019년 과정

검색하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인문사회문화과정 강좌신청종료

24. 인공지능과 인간, 그리고 불교

교육대상
구족계를 수지한 조계종 승려
교육일정
04월 25일 ~ 04월 27일
강사명
지승도
교육비
승납 10년 미만 10만원, 10년 이상 15만만원
이수점수
30점
수강정원
80명
교육장소
4월 25일(목)~27일(토), (음)3월 21일~23일
강좌신청종료
신청기간
2019년 01월 01일 ~ 2019년 04월 23일
수강현황
22 / 80명
강의소개
인공지능과 인간 그리고 붓다. 세 존재가 있다. 무엇이 다르며 무엇이 같을까? 존재의 끝, 붓다에 이를 수 있을까?
본 강의는 먼저 인공지능의 창시자인 폰 노이만(Von Neuman)을 통해 존재의 원리와 4차 산업혁명의 미래를 조망한다. 이어서 존재와 생명을 정보()의 뭉침과 복제의 원리로 재구성한다. 아울러 앎의 수준에 따라 인공지능과 인간 그리고 붓다로 클래스가 갈릴 수 있음을 살펴본다. 앎으로 구성된 존재를 이번에는 뇌과학과 인지과학에서 다루는 뇌와 마음을 통해 해체한다. 이를 토대로 뇌-마음 통합 모델링을 통한 인공존재 가능성에 대해서도 논한다. 현재의 인공지능이 갖는 기계의식에서 인간의식으로의 진화가 가능할지, 나아가 인간의식에서 붓다의식이 발현될 수 있을지 복잡성과학을 통해 풀어본다.
마지막으로 인공지능 진화의 끝, 존재와 앎의 궁극은 어디일지, 그리고 무명을 벗고자 발버둥치는 우리에게 인공지능은 어떤 의미일지 논한다.
 
1. 인공지능의 원조 - 폰 노이만
2. 존재의 이유 -
3. 존재해부학I -
4. 존재해부학II - 마음
5. 화엄세계의 장식 - 복잡성
6. 궁극의 앎 공성
유의사항
  • 위의 내용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 공지사항을 반드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목록으로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55 대한불교조계종대표전화. 02-2011-1809, 1810
Copyright ⓒ 2012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