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불교 건축과 불교 회화 > 교육과정

검색하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인문사회문화과정 강좌신청종료

2025년 불교 건축과 불교 회화

교육대상
조계종 스님
교육일정
08월 27일 ~ 08월 29일
강사명
홍병화, 이용윤
교육비
15만원
이수점수
30점
수강정원
80명
교육장소
한국문화연수원
강좌신청종료
신청기간
2025년 05월 26일 ~ 2025년 07월 10일
수강현황
89 / 80명
강의소개

<불교건축의 역사>

① 불교가 처음 들어오던 시기의 사찰은 어떤 모양이었을까? 또한 왜 그런 모양이 되었을까? ② 禪이 도입되면서 불교건축은 어떤 영향을 받았을까? 변화가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 고려시대 불교건축의 역사를 공부하기는 왜 특히 힘들까? 혹시 고려시대 불교건축을 간단하게 정의할 수 있을까? ③ 조선시대를 관통하는 불교건축의 특징은 있을까? 있다면 무엇일까? 지금 우리가 볼 수 있는 전통사찰은 조선시대의 특징이 상당 부분 남아 있는데, 이렇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불교건축형식에 대한 이해>

① 집을 짓는 기본적인 원리인 귓솟음, 안쏠림 등과 같이 발달한 건축기법은 어떻게 전개되었을까? ② 건축을 어떤 기준으로 구분하고, 그렇게 구분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모든 것이 변화하듯 건축을 어떤 경로를 거쳐 변화·발전하였으며, 앞으로는 변화와 불교의 입장 ③ 각부의 명칭과 기능 : 한옥인 사찰은 어떻게 규모를 표기하는가? 불사를 위해서 스님들이 꼭 아셔야 하는 것을 몇 가지...

 

<불교회화>

불교 회화 강좌에서는 사찰 전각에 봉안되고 야외의식에 모셔지는 불화에 함의된 종교적 상징성, 문화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불화에는 부처님의 가르침, 사상과 신앙에 기반한 불보살의 세계관, 시공간을 초월한 문화의 다양성이 담겨 있다. 이 강의에서는 신앙의 대상인 불화에 표현된 불, 보살과 권속을 정확히 이해하고 불화로 전하고자 한 신앙과 사상은 무엇이며, 그림이 예경대상인 불화로 승화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유의사항
  • 위의 내용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 공지사항을 반드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목록으로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55 대한불교조계종대표전화. 02-2011-1809, 1810
Copyright ⓒ 2012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