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불교의 무아론과 마음의 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1-12-20 17:39 조회2,057회 댓글0건본문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2년 불교의 무아론과 마음의 문제
※코로나 방역수칙 변동에 따라 연수방식 등 세부사항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수강정원 초과 및 대기자인원이 많아 신청을 조기 마감합니다.
⋄교육개요
‘나는 나다’라는 아견과 아집이 있는 한, 우리는 탐진치의 번뇌에 물들어 고통스런 삶으로 생사윤회를 반복한다. 그래서 붓다는 무아를 가르치면서 수행하여 탐진치를 멸해 해탈할 것을 권하였다. 번뇌를 벗어 해탈하여 열반에 이른 자를 우리는 ‘부처’라고 부른다. 무아로 부정되는 나와 열반에 이른 부처, 나와 부처, 이 둘은 서로 어떤 관계인가?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 본 강의는 초기불교의 무아론이 어떻게 대승불교의 여래장 내지 일심사상으로 연결되는지를 살펴본다. 그리고 무아 내지 자아의 문제를 서양철학에서는 어떻게 다루어왔는지를 불교와 연관하여 간략히 살펴보도록 한다.
⋄교육내용
1일차
[1강]무아, 공과 연기
[2강]무아, 업과 윤회
2일차
[3강]유식에서 식의 심층구조
[4강]유식과 서양의 관념론 비교
[5강]공적영지의 마음
3일차
[6강]본심에 이르는 길
<강사 : 한자경>
․현 이화여대 철학과 교수
․이화여대 철학과 석사, 독일 프라이브르크대학 서양철학(칸트) 전공
․동국대 불교학(불교철학) 박사
․수상 ‘반야학술상, ’불교출판문화상‘, ’원효학술상‘, ’서우철학상‘ 등
․저서 『자아의 연구』, 『유식무경』, 『칸트철학에의 초대』, 『마음은 어떻게 세계를 만드는가』 등
[교육비안내]
*교육원 계좌번호: 농협 053-17-006226 (재)대한불교조계종 ※강좌시작 전 까지 납부 부탁드립니다.
*법명(속명)으로 입금 부탁드립니다. 사찰명이나, 법명 혹은 속명만으로 입금시 확인이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