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불교회화로 본 조선시대 불교문화 > 교육과정

검색하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인문사회문화과정 강좌신청종료

2022년 불교회화로 본 조선시대 불교문화

교육대상
구족계를 수지한 조계종 승려
교육일정
07월 13일 ~ 07월 15일
강사명
이용윤
교육비
승납 10년 미만 10만원, 승납 10년 이상 15만원
이수점수
30점
수강정원
70명
교육장소
한국문화연수원
강좌신청종료
신청기간
2022년 01월 17일 ~ 2022년 06월 30일
수강현황
50 / 70명
강의소개

코로나 방역수칙 변동에 따라 연수방식 등 세부사항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수강정원 초과 및 대기자인원이 많아 신청을 조기 마감합니다.(수강현황은 전화접수가 미포함된 인원입니다)

 

⋄교육개요

 조선시대의 불화의 변화를 통해 고려시대에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주제와 표현의 등장이 어떻게 조선시대 불교회화를 형성하였는지, 그리고 조선후기 사찰 불사로 진행된 불화 조성을 승려문중의 관점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괘불도를 비롯한 야외 의식에 현괘(懸掛)되는 불화에 영향을 미쳤던 불교 의식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조선후기 사찰 벽화를 살펴보면서 그 시대 다양한 문화양상을 수용했던 불교문화에 대해 살펴보고, 조선말 근대기의 불화에 반영된 중국, 일본, 서양 등의 표현기법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현대와 전통 불교문화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교육내용

1일차

  [1강]불화에 담긴 조선불교사     

  [2강]불사(佛事), 불화(佛畫), 그리고 화승(畵僧), 승려문중(僧侶門中)①

2일차

  [3강]불사(佛事), 불화(佛畫), 그리고 화승(畵僧), 승려문중(僧侶門中)②

  [4강]불화에 반영된 신앙과 사상  

  [5강]사찰 벽화, 또 하나의 불세계    

3일차

  [6강]근현대, 전통과 신문물의 융합   

 

<강사 : 이용윤>

․현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예술학부 조교수

․홍익대학교 미술사학과 박사

․현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세종시 문화재전문위원 등

․전 총무원 문화부 문화재팀장 및 불교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실 연구관     

․수상 ‘2019 올해의 논문상(한국미술사연구회)’, ‘2018 충청남도지상’, ‘2018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등 

 

[교육비안내]

*교육원 계좌번호: 농협 053-17-006226 (재)대한불교조계종 ※강좌시작 전 까지 납부 부탁드립니다.

*법명(속명)으로 입금 부탁드립니다. 사찰명이나, 법명 혹은 속명만으로 입금시 확인이 어렵습니다. 


유의사항
  • 위의 내용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 공지사항을 반드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목록으로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55 대한불교조계종대표전화. 02-2011-1809, 1810
Copyright ⓒ 2012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