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대승계의 세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연수 작성일23-01-10 18:01 조회2,374회 댓글0건본문
1일차 : [1강] 대승계와 대승보살계
[2강] 범망경보살계서(序)
2일차 : [3강] 범망경보살계 10중대계
[4강] 범망경보살계 48경구계 (Ⅰ)
[5강] 범망경보살계 48경구계 (Ⅱ)
3일차 : [6강] 보살계의 바람직한 활용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2023년 대승계의 세계
한국불교는 성문계와 대승보살계를 수계하는 삼단대계의 수계전통을 가지고 있다. 초기 대승불교
를 대표하는 반야부의 경우 가장 이른 시기에 유통된 경전이 소품반야인데 여기에서는 칠지계를 강
조했고, 대품반야에 이르러 십선계를 온전히 갖추어서 권하고 있다. 중기 대승에 이르러서 화엄에
서는 십선계에 삼취정계와 오종정계를 강조한 내용이 『화엄경』 <이구지>를 통해 강조되고 있다. 후
기 대승불교시대에는 『보살지지경』과 『우바새계경』 등을 통해 보살계의 실천을 권장하고 있는데,
『보살지지경』을 바탕으로 마련된 유가론보살계와 『우바새계경』의 내용을 합친 보살계법이 『범망
경보살계』이며 한국·중국·일본불교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보살계법이 바로 『범망경보살계』이다.
본 강의에서는 대승계와 대승보살계를 비교하고 『범망경』을 중심으로 대승보살계의 내용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그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강사 : 덕문스님
현 영축총림통도사 율주
현 대한불교조계종 계단위원
전 영축율학승가대학원장
전 구족계산림·사미(니)계 수계산림 유나
※코로나 방역수칙 변화에 따라 연수방식 등 세부사항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