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소개
※기존 강사이신 원철스님(조계종 불교사회연구소 소장)이 종단 사정상 강의를 못하게 되셔서 강사를 변경합니다.
강사 : 종묵스님
해인사 승가대학 졸업
일본 임제종 종립 하나조노 대학 석사, 박사 학위 취득
선원수좌, 기본선원 교선사, 해인사 승가대학 학장 역임
하나조노대학 국제선학연구소 연구원
중국 북경대학, 청화대학 방문학자
《중국어 역사문법》근간
《육조단경》에 관한 다수의 일본어 논문 있음
육조 혜능은 <동토의 초조> 보리달마와 함께 후대의 사람들로 부터 선승의 이상상으로 표방되었다.
《단경》은 혜능의 사상을 직접 전하는 극히 중요한 자료이다. 그 내용은 계율을 깨달음의 경지에 의해 이해할려고 하는 一心戒, 無相戒의 사상, 여래장 사상에 기반한 觀心, 見性의 사상, 定慧不二, 자력의 강조 등이다. <돈점논쟁>으로 불려지는 732년 활대 대운사의 무차대회 이후의 신회파의 등장과 남종운동, 신회의 《단어》와의 관련, 초기선종 각파의 사상논쟁, 수행론의 변화, 문헌의 성립과 중층적인 변화등은 기타 불교경전이 포함하고 있는 경전 성립의 중층성, 사상적 변화, 수행론의 문제 등은 오늘날 한국불교가 직면하고 있는 많은 문제를 반조해 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강의목차
1일차 : [1강] *선어록 형성의 역사를 개관해 본다. 달마의 유일한 어록으로 알려진《이입사행론》《수심요론》《육조단경》《마조어록》
《4가어록》등을 개관
*불전한어, 선어록의 문장, 어휘의 특색을 이해
*결제, 해제시 방장·조실의 상당 법어의 문제
2일차 : [2강] 《돈황본 육조단경 》강의
[3강] 《돈황본 육조단경 》강의
3일차 : [4강] *최근 세계 학계의 여래장 사상비판, 본각사상의 비판의 이해
*남방 상좌부 수행론의 대두와 함께 간화선 수행의 비판에 대하여
*돈·점 수행론의 문제 등의 논의
강의자료실
첨부파일 다운로드 |
업로드 날짜 |
등록된 강의자료가 없습니다.
|
유의사항
- 위의 내용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 공지사항을 반드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