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초기불교에서 선까지(불교를 꿰뚫다) > 교육과정

검색하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선교율과정 강좌신청종료

2024년 초기불교에서 선까지(불교를 꿰뚫다)

교육대상
승려
교육일정
04월 22일 ~ 04월 24일
강사명
등현스님
교육비
15만원
이수점수
30점
수강정원
80명
교육장소
한국문화연수원
강좌신청종료
신청기간
2024년 01월 22일 ~ 2024년 04월 08일
수강현황
61 / 80명
강의소개

강사 : 등현스님

현 고운사 화엄 승가대학원 원장, 중앙승가대학교 명상학과 교수 

1986년 근일 대종사를 은사로 득도, 백양사 강원 이후 제방에서 정진 

1993년 이후 스리랑카 비구대학 불교학학사, 캘라니아대학원 불교학 석사 

인도 푸나대학 싼스크리트 학사, 팔리 석사, 인도철학 석사

2012년 푸나대학에서 ‘불교의 열반과 힌두교의 해탈론 비교연구’로 박사학위 취득

2012~2016 바라나시에서 싼스크리트 경장·논장·티벳불교 연찬

2015~2016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티벳불교연구소에서 싼스크리트·티벳어사전(마하브유파띠)번역 

저서 <불교를 꿰뚫다 (불광출판사, 2022)>, <붓다의 언어(불광출판사, 2023)>

 

지금 한국불교는 쓰나미처럼 덮쳐온 남방 불교, 티벳불교, 서양의 명상·심리 상담과 새로운 교상판석에 의해 한 

국불교의 정체성을 찾기 어려운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한국불교의 특징은 무엇인가? 회통 불교이고 

화쟁 불교입니다. 그러므로 ‘초기 불교에서 선까지’라는 일미의 불교를 맛보아서 원효와 의상의 얼을 잇고, 세계 

의 불교와 지성을 리드하는 21세기의 불교로 거듭나는 것이 주제입니다.

불교는 삶의 고통을 자각하고 그 고통의 원인을 다스리는 가르침입니다. 다만 초기 불교는 개인의 고통에, 대승 

불교는 중생들의 고통에 중점을 두었으나 모두 고통과 고통의 소멸이라는 점에서는 이견이 없습니다. 이 고통은 

생물학적 고통과 관계의 고통 그리고 심리적 고통으로 나눠집니다. 생물학적 고통이란 태어난 자는 누구나 겪어 

야 하는 생로병사의 고통이고, 이는 ‘무생법인’을 증득해야만 벗어날 수 있습니다. 관계의 고통은 10바라밀의 실 

천을 통해서, 심리적 고통은 8정도의 수행을 통해서 좀 더 효율적으로 다스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세 가지 고통 

의 원인을 ‘집성제’라 하고, 이를 소멸하면 각각의 고통이 소멸되는데 이를 ‘멸성제’라 합니다. 또한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성스러운 수행의 길(도성제)’이라 하고, 각 학파의 사상은 그 시대의 인식론, 존재론, 심리학, 과학의 영향 

을 받아서 각각 분별설부, 설일체유부, 경량부, 중론, 유식의 수행론으로 다르게 표현됩니다. 그러나 불교의 대명 

제인 4성제 즉 고와 고의 원인, 수행론과 고의 소멸이라는 4가지 큰 틀에서 보면 일미(一味)의 불교입니다. 그러 

므로 모든 불교의 흐름은 4성제 안에서 융화되어 하나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유의사항
  • 위의 내용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 공지사항을 반드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목록으로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55 대한불교조계종대표전화. 02-2011-1809, 1810
Copyright ⓒ 2012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