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철학이 묻고 불교가 답하다 > 교육과정

검색하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인문사회문화과정 강좌신청종료

2024년 철학이 묻고 불교가 답하다

교육대상
승려
교육일정
07월 03일 ~ 07월 05일
강사명
이진경
교육비
15만원
이수점수
30점
수강정원
80명
교육장소
한국문화연수원
강좌신청종료
신청기간
2024년 03월 26일 ~ 2024년 06월 25일
수강현황
44 / 80명
강의소개

강사 : 이진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 박사

저서 : <불교를 철학하다>, <설법하는 고양이와 부처가 된 로봇> 

<철학과 굴뚝청소부>, <노마디즘>, <불온한 것들의 존재론> 

<삶을 위한 철학수업>, <사랑할 만한 삶이란 어떤 삶인가> 

<우리는 왜 끊임없이 곁눈질을 하는가> 등

 

 

현대철학은 지금 세계를 틀 짓는 ‘모더니티’에 대한 비판을 통해 ‘근대’를 넘어서려는 문제설정에서 

출발합니다. 그러나 서구의 근대가 그저 근대로 국한되지 않는 한, 이러한 시도는 서구적 사유 전체 

와의 대결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서구적 사유의 기원이라 하는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이후의 

철학적 사고, 중세 이후 서구를 지배한 기독교적 사고, 그리고 근대 이후의 과학 안에서도 작동하는 

형이상학적 사유가 그것입니다.

불교는 종교적 사고뿐 아니라 철학적 사고에서도 이러한 형이상학에 반하는 사유를 발전시켜 왔 

기에, 역설적이게도 현대철학의 이러한 비판적 시도와 많은 지점에서 만나고 합류합니다. 물론 다 

른 역사, 다른 맥락을 갖기에 다른 개념, 다른 얼굴로 만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오히려 근대 

를 넘어선 삶을 사유하는데 새로운 창발의 지점을 제공합니다. 이 강의에서는 현대철학과 불교와 

의 이러한 만남을 통해, 현대철학의 ‘오래된 미래’로서의 불교를 21세기를 여는 ‘예시적(豫示的) 사 

유’로 벼리어 내고자 합니다.

유의사항
  • 위의 내용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 공지사항을 반드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목록으로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55 대한불교조계종대표전화. 02-2011-1809, 1810
Copyright ⓒ 2012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