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불교와 영화2 > 교육과정

검색하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인문사회문화과정 강좌신청종료

2025년 불교와 영화2

교육대상
조계종 스님
교육일정
04월 07일 ~ 04월 09일
강사명
이창재
교육비
15만원
이수점수
30점
수강정원
80명
교육장소
서울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강좌신청종료
신청기간
2025년 02월 10일 ~ 2025년 03월 20일
수강현황
77 / 80명
강의소개

강좌는 서울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에서 진행합니다. 

4월 7일(월) 오후1시~5시. 국제회의장

4월 8일(화) 오후1시~5시. 국제회의장

4월 9일(수) 오후1시~5시. 국제회의장


주차장이 협소합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2025년 불교와 영화2-서구에서 바라보는 전생, 내세, 윤회

 

불교의 내세관은 어떤 종교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입니다만 현대인들이 이해하기에 다소 방대하고 난해한 편입니다. 서구에서는 뒤늦게 19세기부터 신지학회를 시작으로 불교의 내세관을 폭넓게 수용함과 동시에 실증적인 학문적 전통에서 다방면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예컨대, 근사체험 연구재단(NDERF)에서는 4700건 이상의 근사체험을 수집하여 죽음 이후의 세계를 통계적으로 모델링하고 있고, 지난 50여년간 미국 버지니아대 인지연구소에서는 전생을 기억하는 2700여명의 아이들를 조사하여 전생의 여부를 입증하고 있습니다. 나아가 뉴튼연구소에서는 4000여건의 최면퇴행의 임상을 통해 전생, 내세의 구조와 윤회의 원리까지 제시하고 있습니다. 지난 강의에서는 죽음에서 환생에 이르는 포괄적인 개념에 대한 강의를 했습니다. 금번에는 존엄사와 안락사, 내세의 원리와 구조, 윤회의 본질, 카르마에 대한 여러 해석 등 죽음과 윤회를 둘러싼 주요 화두를 중심으로 보다 심화된 강의를 할 예정입니다. 죽음과 환생을 정면으로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를 통해 주요 의제를 유도하고, 축적된 연구자료를 기반으로 불교의 내세관과 서구에서의 실증적 내세관을 비교 분석하여 포교 현장에서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유의사항
  • 위의 내용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 공지사항을 반드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목록으로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55 대한불교조계종대표전화. 02-2011-1809, 1810
Copyright ⓒ 2012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