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소개
<불교건축의 역사>
① 불교가 처음 들어오던 시기의 사찰은 어떤 모양이었을까? 또한 왜 그런 모양이 되었을까? ② 禪이 도입되면서 불교건축은 어떤 영향을 받았을까? 변화가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 고려시대 불교건축의 역사를 공부하기는 왜 특히 힘들까? 혹시 고려시대 불교건축을 간단하게 정의할 수 있을까? ③ 조선시대를 관통하는 불교건축의 특징은 있을까? 있다면 무엇일까? 지금 우리가 볼 수 있는 전통사찰은 조선시대의 특징이 상당 부분 남아 있는데, 이렇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불교건축형식에 대한 이해>
① 집을 짓는 기본적인 원리인 귓솟음, 안쏠림 등과 같이 발달한 건축기법은 어떻게 전개되었을까? ② 건축을 어떤 기준으로 구분하고, 그렇게 구분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모든 것이 변화하듯 건축을 어떤 경로를 거쳐 변화·발전하였으며, 앞으로는 변화와 불교의 입장 ③ 각부의 명칭과 기능 : 한옥인 사찰은 어떻게 규모를 표기하는가? 불사를 위해서 스님들이 꼭 아셔야 하는 것을 몇 가지...
<불교회화>
불교 회화 강좌에서는 사찰 전각에 봉안되고 야외의식에 모셔지는 불화에 함의된 종교적 상징성, 문화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불화에는 부처님의 가르침, 사상과 신앙에 기반한 불보살의 세계관, 시공간을 초월한 문화의 다양성이 담겨 있다. 이 강의에서는 신앙의 대상인 불화에 표현된 불, 보살과 권속을 정확히 이해하고 불화로 전하고자 한 신앙과 사상은 무엇이며, 그림이 예경대상인 불화로 승화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강의목차
1일차
[1강]
불교건축의 역사
① 불교건축의 개념 : 무엇이 불교건축이며, 어떻게 생겨나기 시작하였는가?
② 불교건축의 흐름 上 : 도입기부터 고려시대까지
③ 불교건축의 흐름 下 : 조선시대까지
2일차
[2강]
불교건축형식에 대한 이해
① 목조건축의 원리 : 건축물의 구조적 원리
② 건축형식의 구분 : 형식을 구분하는 몇 가지 방법을 통한 건축의 이해
③ 불교건축의 명칭과 부재 : 불사를 하시는 데 꼭 필요한 명칭과 개념을 중심으로
[3강]
전각 봉안 불화, 야외 봉안 불화
[4강]
불화로 표현된 신앙과 사상
3일차
[5강]
불화의 신성성, 복장과 진언
강사: 홍병화
-건축학박사(연세대학교 대학원)
-전통건축의 새로운 이해(선, 2013),
-조선시대 불교건축의 역사(민족사, 2020),
-전통건축 구조와 의장의 원리(e퍼플, 2022)
강사: 이용윤
-홍익대학교 미술사학과 석사·박사
-현)한국학중앙연구원 미술사학 부교수
-현)문화재청 문화유산전문위원, 충청남도·충청북도·세종특별자치시 문화유산위원
-공저, 『한국불교사:조선·근대』(2024), 공저, 『진영에 깃든 선사의 삶과 사상』(2016) , 공저, 『한국불교미술사』(2011)
강의자료실
첨부파일 다운로드 |
업로드 날짜 |
등록된 강의자료가 없습니다.
|
유의사항
- 위의 내용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 공지사항을 반드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