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학 입문 > 이러닝 교육과정

검색하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불교문화 및 불교사 과정

불교학 입문

교육대상
조계종 스님 누구나
교육일정
제한없음
교육비
무료
교육장소
온라인 비대면
강좌신청
신청기간
제한없음             
수강현황
54
강의소개

불교학(Buddhology)도 ()’인 이상 당연히 비판의심과 탐구를 본질로 한다이는 인간 본연의 이성 활동으로불교술어로는 간택(簡擇, pravicaya)의 혜(, prajñā, mati: 통상 지혜’)가 이에 상응한다불교는 지혜의 종교이다.

 

철학사가 철학함의 결과이듯불교사상사(=불교또한 불교학의 결과이다따라서 불교학은오늘 우리에게 주어진 불교를 다만 주어진 대로 이해하고 그 의미를 가공하여 고양시키는(혹은 폄훼하는) ‘종학(宗學)’과 구별되지 않으면 안 된다불교의 성전은 계시가 아닐뿐더러 어떠한 경우에도 교조의 말씀이기 때문에 진리라고 말하는 일은 없기 때문이다인연이 무시된 사상은 교조(敎條도그마)이다그것은 절대로서 수용될 수밖에 없기에 이 아니다.

 

본 강의에서는 우리에게 주어진 불교가 어떤 인연어떤 경로(역사적 논리적 맥락)로 생산 발전(비판·종합)된 것인지 알아보고이를 통해 불교학의 의미와 목적방법 등에 대해 함께 생각해 보려 한다이는 필경 내일의 불교에 자량(資糧)이 될 것이라 믿기 때문이다.

유의사항
  • 위의 내용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 공지사항을 반드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목록으로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55 대한불교조계종대표전화. 02-2011-1809, 1810
Copyright ⓒ 2012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All Rights Reserved